2022년 6월 24일 금요일

한국 초기 트로트와 엔카, 그리고 전통음계의 관계

 


복잡한 이론은 저도 잘 모르니까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엔카-서양 음악의 영향을 받아 근대에 만들어진 일본의 음악. 음계는 일본의 음계인 요나누키 음계를 씁니다. 

근데 이 요나누키 음계도 일본의 전통적인 음계라기 보다는

서양음악이 근대에 일본으로 건너가면서 근대에 정착된 것에 가깝습니다.


일단 요나누키 장음계로 이뤄진 음악입니다. 


요 장음계는 도-레-미-솔-라 로 이뤄졌는데, 사실상 유럽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의 전통음악은 이 5음계를 씁니다.

대표적으로 서양의 블루스가 이 5음계를 쓰죠.

그래서 한중일의 전통음악들이 서양음악들만큼 이질적이지 않은거죠. 비스무리 하니까요. 



다음은 요나누키 단음계를 연주한 영상입니다. 


어? 하실 분들은 계실텐데 '뽕끼'의 기원이 이 요나누키 단음계입니다. 

라-시-도-미-파를 활용합니다. 


국악의 계면조와 비슷한데 계면조는 '라-도-레-미-솔'을 활용합니다. 




그리고 1932년에 나온 황성옛터입니다. 

초기 트로트인데, 특이하게도 우리가 아는 쿵짝쿵짝이 아닌  쿵짝짝 3박자 트로트입니다.

이건 한국의 전통음악이 대체로 3박자 기반이었기에 그와 어울리는 박자로 만든게 아닌가 싶습니다. 

거기에 '황성옛터'는 1901년 만들어진 일본의 근대가곡 '황성의 달'의 분위기나 주제와 상당히 흡사합니다. 

들어보면 계면조와 비슷한지, 요나누키 단음계와 비슷한지 감이 올겁니다.


그리고 그 유명한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입니다. 

3박자에서 우리가 아는 쿵짝 쿵짝 2박자로 변화한 걸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엔카를 찾아보죠.

1931년에 나온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입니다. 

작곡가 고가 마사오는 일본에서 엔카 작곡가로는 전설의 위치에 있는 사람인데

소위 트로트 왜색논쟁의 논란 중 하나인 인물로 꼽히기도 합니다. 

후쿠오카 태생이지만, 어린시절 10년간 조선에서 자랐기 때문입니다.

요나누키 음계와 경기, 서도 지역 민요가 흡사한 면도 있구요.



경서도 민요입니다. '도-레-미-솔-라'를 활용했는데 이건 요나누키 장음계와 흡사합니다.

아까 말했듯이 서양음악을 제외한 대부분 문화권의 전통음악이 이 5음계를 활용해서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국악 계면조로 음악을 만들면 어떻게 되느냐.

신중현과 엽전들의 미인은 얼핏 들으면 트로트 느낌이 나지만

미묘하게 다른데, 요나누키 단음계인 '라-시-도-미-파'가 아니라 계면조의 '라-도-레-미-솔'을 활용했습니다. 



그외에 국악의 평조로 만든 음악도 있습니다. 

안기영이 1931년에 작곡한 가곡인 '그리운 강남'입니다.

안기영은 미국 유학파이면서 이화여전 교사로 근무하며 민요들을 서양 기보법으로 옮기고

국악 음계를 기반으로 한 창작 가곡을 제작합니다.

국악 평조 음계인 '솔-라-도-레-미'를 활용했습니다.



결론을 내리자면 서양음악을 제외한 대부분 문화권은 5음계 음악을 사용했고 한, 중, 일 역시 똑같습니다. 

서양음악을 받아들이며 일본은 요나누키 음계란 개념이 생기고, 이걸 기반으로 엔카가 만들어집니다.

그중 요나누키 단음계인 '라-시-도-미-파'가 우리가 아는 소위 '뽕끼'입니다. 

제가 가져온 초기 트로트가 요나누키 단음계와 고가 마사오의 엔카와 흡사한지

경서도 민요인 놀량이나 계면조 기반의 '미인', 평조 기반의 '그리운 강남'과 비슷한지는 

들어보면 느낌으로 아실겁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